책과나무

HOME도서정보분야별 책 보기

도서정보

분야별 책 보기

  • 책자이미지
  • 노을빛 치마에 쓴 시

    • 저자
      고승주
      페이지
      364 p
      판형
      145*220 mm
      정가
      15000원원
    • 출간일
      2020-11-20
      ISBN
      979-11-5776-955-1
      분류
      문학
      출판사
      책과나무
    • 판매처
      • 교보문고
      • 교보문고
      • 교보문고
      • 교보문고
책 소개

이 책은 지난해 중국 한시 120수를 발췌하여 『꽃인 듯 꽃이 아닌 듯』을 엮은 저자가, 이번에는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대표 한시를 엮은 것이다. 꾀꼬리를 보고 노래한 유리왕의 「황조가」, 이별을 노래한 정지상의 「대동강」에서부터 최치원, 이규보, 이색, 김시습, 정약용과 여류시인, 허난설헌과 황진이 등 당대 역사에 한 획을 그은 학자와 문장가들의 걸출한 한시들이 담겨 있다. 한글 번역과, 한자어로 쓴 한시 원문, 그리고 해당 시에 대한 참조적인 해석을 함께 담고 있어, 한국문학에 관심이 있고 인문학을 공부하고 싶은 분들뿐만 아니라 한시를 배우지만 재미를 붙이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에게도 흥미를 유발할 것이다.

...
저자 소개

전남 담양 출생. 시집으로 「휘파람새」, 「다윗을 위하여」, 「시간이 그려낸 이상한 기호들」, 「가을 경전읽기」, 「봄 경전읽기」와 중국 한시 편역으로 「꽃인 듯 꽃이 아닌 듯」이 있다.

...
목차

머리말


1부 뜰에 가득한 달빛

1. 황조가 黃鳥歌 - 유리왕
2. 우중문에게 與隋將于仲文詩 - 을지문덕
3. 분하고 원통하여 憤怨 - 거인
4. 비 오는 가을밤에 秋夜雨中 - 최치원
5. 가야산 독서당 題伽倻山讀書堂 - 최치원
6. 어느 스님에게 贈雲門蘭若智光上人 - 최치원
7. 뜰에 가득한 달빛 絶句 - 최충
8. 구산사를 지나며 使宋過泗州龜山寺 - 박인량
9. 이차돈 厭觸舍人廟 - 석대각
10. 소를 타고 가는 노인 長源亭應製野叟騎牛 - 곽여
11. 대동강 送人 - 정지상
12. 개성사 開聖寺- 정지상
13. 감로사에서 甘露寺次惠遠韻 - 김부식
14. 패랭이꽃 石竹花 - 정습명
15. 고향에 돌아오니 初歸故園 - 최유청
16. 저녁 종소리 煙寺晩鐘 -이인로
17. 밤비 瀟湘夜雨 - 이인로
18. 스님이 길은 달 詠井中月 - 이규보
19. 모두 다 나를 잊네 詠忘 - 이규보
20. 원고를 불사름 焚藁 - 이규보
21. 시를 짓는 병 詩癖 - 이규보
22. 눈 속에 친구를 찾아가서 雪中訪友人不遇 - 이규보
23. 배꽃은 지고 落梨花 - 김구
24. 이사 遷居 - 최해
25. 연인과 헤어지며 梁州客館別情人 - 정포
26. 산속의 봄날 山去春日 - 왕백
27. 버리지 못한 꿈 寄鄭代言 - 이곡
28. 산속 눈 내리는 밤 山中雪夜 - 이제현
29. 강가 나루에서 江頭 - 오순


2부 너의 시 읊는 소리에

30. 부벽루에서 浮碧樓 - 이색
31. 회포에 젖어 遣懷 - 이색
32. 오늘도 저물어 가니 夜坐次杜工部詩韻 - 한수
33. 일본에 사신으로 와서 洪武丁巳奉使日本作 - 정몽주
34. 그림 속에 내가 있네 訪金居士野居 - 정도전
35. 매화를 노래함 詠梅 - 정도전
36. 첫눈 新雪 - 이숭인
37. 유소년의 산수도 題柳小年山水圖 - 권근
38. 산 노을로 아침밥을 짓고 題僧軸 - 이제
39. 죽음에 임하여 臨死賦絶命詩 - 성삼문
40. 너의 시 읊는 소리에 - 고순
41. 봄날 春日 - 서거정
42. 삼복 三伏 - 서거정
43. 무제 無題 - 김시습
44. 나그네 有客 - 김시습
45. 잠시 개었다 비 내리고 乍晴乍雨 - 김시습
46. 이 몸 또한 꿈일지니 縱畢 - 김시습
47. 소나무 엮어 오두막 짓고 葺宋檜以爲廬 - 김시습
48. 온종일 잠에 빠져 耽睡 - 김시습
49. 몸과 그림자 和靖節形影神 - 김시습
50. 잠 못 이루는 밤 竹枝詞 - 김시습
51. 두견새 울음 聞子規 - 단종
52. 대장부 大丈夫 - 남이
53. 회포 書懷 - 김굉필
54. 우연히 읊다 偶吟 - 조신
55. 유민의 탄식 流民歎 - 어무적
56. 친구 생각 八月十五夜 - 이행
57. 달과 서리 霜月 - 이행
58. 길가에 선 소나무 題路傍松 - 김정
59. 유물 有物吟 - 서경덕
60. 원숭이 그림 題畫猿 - 나식


3부 풀이란 풀은 꽃망울 맺히고

61. 달밤에 매화를 노래함(3) 陶山月夜詠梅(其三) - 이황
62. 친우의 시에 답하다 次友人寄詩求和韻 -이황
63. 몸의 허물 맑은 물로 씻고 浴川 - 조식
64. 버드나무 물가에 찾아온 손님 柳汀迎客 - 김인후
65. 산속의 생활 山居 - 권응인
66. 깊은 산에 홀로 앉아 獨坐深山 - 서산대사
67. 언행의 허물 行到稷山感懷有述寄上退溪先生 - 기대승
68. 노란 국화 흰 국화 詠黃白二菊 - 고경명
69. 고기잡이 배 漁舟圖 - 고경명
70. 보름달 望月 - 송익필
71. 한적한 곳에 묻혀 幽居 - 송익필
72. 술을 끊다 已斷酒 - 정철
73. 송강정에서 하룻밤 宿松江亭舍 - 정철
74. 화석정 花石亭 - 이이
75. 봄날 春日 - 백광훈
76. 꽃 피고 지는 일 偶吟 - 송한필
77. 보리 베는 노래 刈麥謠 - 이달
78. 대추 터는 아이들 撲棗謠 - 이달
79. 삼각산 문수사 次文殊僧卷 - 최립
80. 대은암 옛집 大隱巖南止亭故宅 - 최경창
81. 풀이란 풀은 꽃망울 맺히고 - 사명대사
82. 한산도의 밤 閑山島夜吟 - 이순신
83. 취하여 읊다 九日醉吟 - 백대붕
84. 길을 가며 途中 - 이수광
85. 술에 취해서 大醉吟 - 진묵대사
86. 스님을 찾아서 隱寂尋僧 - 이정귀
87. 오동나무 천년을 살아도 - 신흠
88. 여인의 한 征婦怨 - 권필
89. 충주석 忠州石 - 권필
90. 4월 15일 四月 十五日 - 이안눌
91. 집에 보내는 편지 寄家書(一) - 이안눌

4부 노을빛 치마에 쓴 시

92. 제주에서 濟州 - 광해군
93. 새로 온 제비 詠新燕 - 이식
94. 낙서재에서 樂書齋偶吟 - 윤선도
95. 북쪽 변방으로 귀양 가며 被謫北塞 - 윤선도
96. 처마 밑을 걸으며 步檐 - 이민구
97. 산행 山行 - 강백년
98. 싸우는 개들 鬪狗行 - 조지겸
99. 산속의 농부 山民 - 김창협
100. 태고음 太古吟 - 이만부
101. 농부네 집 田家 - 이용휴
102. 동호 東湖 - 정초부
103. 나무하는 소년 樵童 - 이헌경
104. 달빛 속의 목동 牧童 - 유동양
105. 떠나간 형을 그리며 燕巖億先兄 박지원
106. 선연동을 지나며 嬋娟洞 - 이덕무
107. 연광정에서 練光亭 - 이가환
108. 단옷날 丹陽雜絶 - 유득공
109. 세검정 洗劍亭水上余結趺石坡草畵處 - 박제가
110. 새색시의 소원 雅調(其七) - 이옥
111. 장기 농가 長鬐農家 - 정약용
112. 놀란 기러기 驚雁 - 정약용
113. 음주(1) 飮酒(一) - 정약용
114. 노을빛 치마에 쓴 시 梅花雙鳥圖 - 정약용
115. 호박 南瓜歎 - 정약용
116. 두 갈래 길 奉簡巽菴(其一) - 정약용
117. 늙은이의 한 가지 유쾌한 일(2) 老人一快事(二) - 정약용
118. 늙은이의 한 가지 유쾌한 일(4) 老人一快事(四) - 정약용
119. 용산 마을의 아전 龍山吏 - 정약용
120. 늙은 소를 탄식함 老牛歎 - 이광사
121. 시골집에서 田家行 - 이규상
122. 등 燈 - 이언진
123. 서산에 해 질 때 白日轣轆西墜 - 이언진


5부 나 죽고 그대 살아서

124. 시냇가 모래밭에 쓴 시 尋花(一) - 신위
125. 나 죽고 그대 살아서 悼亡 - 김정희
126. 시골집 村舍 - 김정희
127. 금강산 長安寺 - 신좌모
128. 주막에서 艱飮野店 - 김병연
129. 눈 雪 - 김병연
130. 삿갓을 노래함 詠笠 - 김병연
131. 거사비 題路傍去思碑 - 이상적
132. 농부의 흥겨움 田家雜興 - 이정직
133. 목숨을 끊으며 絶命詩 - 황현
134. 속세로 돌아가며 返俗謠 - 설요
135. 야음 夜吟 - 김호연재
136. 봄날 여인의 마음 春閨詞 - 김삼의당
137. 나그네 宿檢秀 - 김운초
138. 늦봄 뒤뜰에서 晩春坐後庭一首 - 김청한당
139. 임을 기다리며 待郎君 - 능운
140. 죽은 딸을 슬퍼하며 悼亡女 - 남씨
141. 앓고 나서 病後 - 박죽서
142. 대관령에서 고향을 바라보며 踰大關嶺望親庭 - 신사임당
143. 어머니 생각 思親 - 신사임당
144. 가을 난초 感遇 - 허초희
145. 연밥 따는 노래 採蓮曲 - 허초희
146. 아이들을 곡하며 哭子 - 허초희
147. 한스런 마음 自恨 - 이매창
148. 그리움 自述 - 이옥봉
149. 여인의 마음 閨情 - 이옥봉
150. 눈이 갠 달밤 三五七言 - 홍원주
151. 꿈길에서 相思夢 - 황진이
152. 임을 보내며 送別蘇判書世讓 - 황진이

...
본문 소개

황조가

유리왕琉璃王

 

펄펄 나는 꾀꼬리는

암수가 서로 다정한데

홀로 된 이내 몸은

누구와 함께 돌아갈까

 

黃鳥歌

翩翩黃鳥편편황조 雌雄相依자웅상의

念我之獨염아지독 誰其與歸수기여귀

 

[참조] 유리왕琉璃王(?-18)

「황조가」는 고구려 제2대 유리왕이 지은 시가詩歌인데, 원래의 노래는 전해지지 않고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유리 왕조에 4언 4구의 한역시로 전한다. 유리왕은 왕비 송씨가 죽자 골천 사람의 딸 화희禾姬와 한인의 딸 치희雉姬를 계실繼室로 얻었다. 두 여자가 서로 다투어 화목하지 않자, 왕은 양곡凉谷의 동서에 두 궁을 짓고 각기 살게 했다.

왕이 기산箕山으로 사냥을 나가서 7일간 돌아오지 않은 사이 두 여자가 서로 다투게 되었는데, 화희가 치희에게 “너는 한나라 출신의 비첩으로써 어찌 무례함이 그리 심한가”라고 꾸짖으니 치희가 부끄럼과 원한을 품고 도망가 버렸다. 왕이 이 사실을 알고 말을 몰아 쫓아갔으나 치희는 돌아오지 않았다. 왕은 나무 밑에 쉬면서 꾀꼬리를 보고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한다.

『삼국사기』의 내용을 그대로 믿고 한역의 내용을 보면, 「황조가」는 유리왕이 지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정시가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또 다른 해석에 따르면, 유리왕 당시의 사회 현실을 반영한 작품으로 보고 화희와 치희의 싸움을 두 종족 간의 대립으로 보면 유리왕이 이 두 사이를 화해시키려다 실패하고 부른 것이니 서사시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한편 유리왕을 신화적 인물로 해석하고 이 시가의 작자도 사실은 누구인지 알 수 없으며 제작 연대도 확정할 수 없는 고대 서정 가요로 보아 남녀가 배우자를 선정하는 기회에 불린 사랑의 노래라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
출판사 리뷰

“한국문학에 관심이 있고 인문학을 좀 더 공부하고 싶은 분들,
한시를 배우지만 재미를 붙이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책”

‘펄펄 나는 꾀꼬리는 / 암수가 서로 다정한데 / 홀로 된 이내 몸은 / 누구와 함께 돌아갈까’ 대부분의 한국인이 아는 한시, 유리왕의 「황조가」다. 그런데 우리가 익히 외로움을 노래한 서정시로 알고 있는 이 한시에 대해, 저자는 여러 가지 견해를 제시한다. 유리왕 당시의 사회 현실을 반영한 작품으로 보고 화희와 치희의 싸움을 두 종족간의 대립으로 보면, 유리왕이 이 두 사이를 화해시키려다 실패하고 부른 것이니 서사시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또, 유리왕을 신화적 인물로 해석하여 이 한시의 작자도 누구인지 알 수 없으므로 고대 서정 가요로 보아 남녀가 배우자를 선정하는 기회에 불린 사랑의 노래라고 주장하는 견해도 제시한다.
『노을빛 치마에 쓴 시』는 전문 학자들이 번역한 한시를 공부하며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대표 한시와 저자의 마음을 이끈 한시를 간추려 엮은 것으로, 위의 「황조가」의 예처럼 이해하기 쉽게 쓴 한글 번역과, 한자어로 쓴 한시 원문, 그리고 해당 시에 대한 참조적인 해석을 함께 담고 있다. 참조 부분에는 시인의 이력과 함께 그와 관련된 역사 이야기도 정리되어 있다.
역사에는 한 민족의 정신이 깃들고 시에는 한 사람의 영혼이 깃들어 있다. 사람들은 시대와 역사를 교감하며 현재 속에서 자신의 삶을 직조해 나간다. 따라서 이 책이 역사적 이해와 문학세계의 지평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한시가 쉽고 아름다운 시어들로 해석되어 있어, 한국문학에 관심이 있고 인문학을 좀 더 공부하고 싶은 분들뿐만 아니라 한시를 배우지만 재미를 붙이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에게도 흥미를 유발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