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나무

HOME도서정보전체도서

도서정보

전체도서

  • 책자이미지
  • 집안제사 해설

    • 저자
      이형두
      페이지
      312p
      판형
      160 * 234 mm
      정가
      20,000원
    • 출간일
      2017-08-01
      ISBN
      979-11-5776-446-4
      분류
      인문/사회/과학
      출판사
      책과 나무
    • 판매처
      • 교보문고
      • 교보문고
      • 교보문고
      • 교보문고
책 소개

나의 뿌리를 돌아보고 조상께 효를 실천하는 제사, 바르게 지내는 방법
제사라고 하면 흔히 명절에 지내는 차례나 고인의 기일에 지내는 기제사를 떠올릴 수 있다. 현대 사회로 들어서면서 불편하고 복잡함을 줄이고 편리함과 신속함을 도모하다 보니 제사의 규모와 형식도 간소화되었다. 허례허식을 줄이고자 정부에서 만든 가정의례준칙도 한몫했다. 시대에 맞게 변화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사의 의미와 제사에 담긴 정신은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자가 이 책을 쓴 이유이기도 하다.
형식이 내용을 지배한다는 말이 있다. 격식에 맞게 제사를 지내는 가운데, 고인을 그리워하고, 고인에게 못 다한 효를 되새긴다. 오늘의 나를 있게 한 뿌리인, 선조들의 은혜에 감사하고, 선조의 정신을 생각한다. 바쁘고 번잡하다고 절차를 무시하고 간편한 제사를 드려서는 이런 것들을 생각할 수 없다. 경건하고 엄숙하게 형식에 맞게 드려야만 가능한 일이다. 저자는 현대인들이 복잡하게 생각하는 제사의 형식과 절차를 중국과 조선의 고전예서를 참고하여 친절하게 설명한다. 이 책을 참고하면 바른 제사를 지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저자 소개

저자 이형두는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및 부산대학교어린이병원 심장센터 교수로 있으며 동교실 주임교수와 부산대학교어린이병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본관은 합천陜川이고 고향은 진주 사봉이며 호는 벽산碧山이다.

...
목차

머리말 ㆍ 10
1. 집안제사의 종류와 변천 ㆍ 20
2. 제사의 준비 ㆍ 30
지방紙? ㆍ 32
축祝과 고사식告辭式 ㆍ 48
제사상차림(진설陳設 및 진찬進饌) ㆍ 80
3. 기일제사忌日祭祀 ㆍ 114
기제의례忌祭儀禮 해설 ㆍ 130
기제홀기忌祭笏記 ㆍ 150
4. 설과 추석차례 ㆍ 160
5. 선조묘제先祖墓祭 ㆍ 172
6. 참고문헌 ㆍ 182
꼬리말 ㆍ 186
부록
1. 절 ㆍ 190
2. 예서 ㆍ 203
격몽요결擊蒙要訣 ㆍ 203
-상제장喪制章, 제례장祭禮章, 제의초祭儀?
증보사례편람增補四禮便覽 ㆍ 239
-제례祭禮
사례집의四禮集儀 ㆍ 291
-선조묘제의先祖墓祭儀

...
본문 소개
조선시대 예학의 근본이 된 『가례家禮』에는, 중월仲月(음력 2, 5, 8, 11월)에 사당에서 고조高祖까지 4대 조상에게 지내는 사시제四時祭, 동지에 시조始祖를 잇는 종자宗子(종가宗家의 맏아들)가 시조에게 지내는 초조제初祖祭, 입춘에 고조 이상을 잇는 종자가 각각의 선조(초조 이하 고조 이상의 조상)에게 제사 지내는 선조제先祖祭, 계추季秋(음력 9월)에 아버지를 잇는 종자가 아버지에게 제사 지내는 녜제?祭(예제, 니제, 이제), 돌아가신 날 모시는 기일제忌日祭, 삼월 상순에 지내는 묘제墓祭 등 여섯 가지의 집안제사가 있다.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주된 이념이었으므로 제사도 명복을 비는 재齋의 형식으로 절에서 지냈다. 성리학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고려 말부터 사대부를 중심으로 유교적 제사가 점차 보급되었으며, 1474년 조선 성종 때 강희맹, 신숙주 등이 편찬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대부사서인大夫士庶人의 제사로 4중월의 시향 그리고 기일과 속절의 제사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조선시대 중기에 접어들면서 『가례』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주자예학을 널리 보급하고자 우리나라의 풍속을 가미한 예서들이 편찬되었다. 명종 5년인 1550년 회재晦齋가 가정의 제사에 대해 저술한 『봉선잡의奉先雜儀』는 중월의 사시제, 녜제, 기일제와 당시의 풍속을 좇아 설, 한식, 단오와 추석에 지내도 좋다고 한 묘제에 대한 설명이 있으며, 이어 선조 10년인 1577년 율곡栗谷이 편찬한 『격몽요결擊蒙要訣』에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의 사시제, 기제와 설, 한식, 단오 및 추석에 지내는 묘제에 대한 서술이 있다. 또 1648년 간행된 『상례비요喪禮備要』에는 중월의 시제, 기제 그리고 묘제가 설명되어 있고, ‘우리나라 예학禮學의 종장宗長’이라 일컫는 사계沙溪가 『가례』를 증보, 해설하여 예설을 집대성한 『가례집람』은 1685년(숙종 11)에 간행되었다. 이 책에서 사계는 『가례』를 따라 사시제, 초조제, 선조제, 녜제, 기일제와 묘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1700년대 초에 편찬되어 1844년 간행된 『사례편람四禮便覽』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 예서인데, 사시제를 가장 중요한 제사로 다루었고, 녜제, 기제 및 삼월 상순의 봉사친奉祀親(친미진조親未盡祖, 현재 제사를 모시고 있는 친속親屬)에 대한 묘제와 시월 초하루의 친진조親盡祖(제사 모시는 대수가 다한 선조)에 대한 묘제가 설명되어 있다. 1922년 간행된 『사례집의四禮集儀』에는 사시제, 녜제, 기제 및 삼월 상순과 시월 초하루의 묘제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예서들은 사시제를 가장 비중 있는 제사로 강조하였지만, 『성호전집星湖全集』에 실려 있는, 이익李瀷이 1700년대 중반에 쓴 것으로 보이는 ‘제식祭式’의 머리글에서, “지금의 풍속은 사시四時의 정제正祭를 거행하는 경우가 드물다. 그러므로 단지 기제, 묘제, 참례의 세 조목만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고 한 것처럼 이미 이 시기에 묘제를 중시하는 풍속으로 인해 묘제가 사시제를 대신하게 되었다.
...
출판사 리뷰

『예기』에 제사는 ‘追養繼孝(추양계효)’, 즉 돌아가신 뒤에도 봉양하여 효를 이어가는 것이며, 가르침의 근본이라고 하였다.
제례는, 조상에게 보은하는 의식을 통해 가문 구성원으로서 소속감, 동질성과 정체성을 느끼게 하며, 문중의 결속과 번영을 추구하는 필수적인 의례행위이다. 경건한 제사는, 어버이 생시의 순종적 봉양, 슬픔을 다한 장례와 더불어 효자의 기본 도리이며, 다하지 못한 ‘효’를 계속하여 인륜과 도의를 실천하고, 선조들의 발자취를 되새겨 그 정신을 계승하도록 가르치는 교육의 장이다. 비록 현대에 와서 제사의 의미가 점점 축소되고 있지만, 제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문화로 우리의 삶에 녹아서 계승되어야 한다.
그런데 집안제사의 경우 각 가정마다 대개 어깨너머로 배우기 때문에, 전수되면서 점차 바른 예법에서 멀어지기 쉽다. 물론 돌아가신 조상을 추모하는 데 정성이 가장 중요하지만, 율곡 선생께서 말씀하신 대로 예법을 이해하지 못하면 마침내 문란과 무질서를 면하지 못할 것이므로 행례의 뜻과 그 규범을 올바르게 이해하여 절차가 법도에 심하게 어긋나지 않도록 하여야 예로써 조상님을 받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례를 해설한 서적을 곁에 두고 자주 바로잡아야 하지만, 활용할만한 자료가 많지 않으며, 고전예서에 근거하여 전통적 예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이 책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가례집람』, 『사례편람』, 『가례증해』, 『상변통고』, 『사의』 등 예서들과 여러 선유들의 글을 고찰하여 전통제례의 원형과 의미를 상세히 해설하고자 하였다. 제사 준비 과정인 지방과 축문의 작성, 제사상 차림부터 기제, 명절차례와 묘제의 절차에 이르기까지 예서에 근거하여 자세히 설명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부록편에는 ‘절’에 대해서 『가례집람』과 『우복집』에 근거해 설명했으며, 『격몽요결』의 ‘상제장’, ‘제례장’과 ‘제의초’, 『사례편람』의 ‘제례’, 『사례집의』의 ‘선조묘제의’의 원문과 한글 해석이 실려 있다.
이 책이 집안제사에 대한 이해를 높여, 뿌리에 보답하고 조상을 추모하는 의식이 예에서 멀리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후손에게는 효성과 공경의 마음을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